●글 주인 이력●
중국 하얼빈
흑룡강중의약대학교
黑龙江中医药大学
중의임상학 학사 졸
동 대학 침구학 석사 졸
동 대학 내과학 박사 1학년 중 휴학
흑룡강중의약대학교 부속 제 1병원 1 신경내과 근무
카카오톡 : hansongwoo
안녕하세요:D 우스토리입니다.
오늘부터 하루하루 추나요법에서 자주 사용되는 혈자리에 대해 포스팅할 계획입니다.
12경락과 독맥, 임맥, 경외기혈 중의 혈자리를 올릴 거구요.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써보려합니다.
이 글을 읽기 전에 혈자리 쉽게 찾는 법을 먼저 숙지하고 보시면 이해하시는데 더 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됩니다.
자, 그럼 포스팅 시작할께요.
취혈取穴 시 인체체표표지人體體表標志, 골도분촌骨度分寸, 동신同身(지指)촌법寸法(위에 링크된 혈자리 쉽게 찾는 법을 보시면 이해하시기 편할겁니다^^) 등 각기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요. 정확한 취혈과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치료 효과에 있어 큰 영향을 줍니다. 임상에선 위 서술한 방법 외에도 특수체표와 기체활동 시 나타나는 근육의 갈라진 곳, 건, 움푹한 곳, 주름, 살이 두툼하게 올라온 곳 혹은 요함凹陷등의 표지를 보고 취혈하는 방법이있습니다. 추나를 할때 상세하게 관찰하고 실전에서의 그 의도를 반복하여 세심하게 따져봐야합니다. 끊임없이 노력해야만 완벽에 가까운 추나를 할 수 있습니다.
혈자리 선택과 여러 혈자리를 조합은 그 혈자리의 주치主治와 경락의 소속을 근거로 하며 근처, 먼 곳, 전후, 상하, 좌우 등을 여러 경우를 살펴 진행합니다.
아래에는 십이경락, 독맥, 임맥, 경외기혈에서 자주 사용되는 혈자리의 위치, 주치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.
해당 경락에 더 자세한 내용은 각각의 경맥이름에 링크 걸어뒀으니 한번 들어가서 공부해보시면 어떨까요? ^^
경외기혈에 대한 내용은 완벽하게 정리되어 있고,
12경맥 중 우선적으로 족태양방광경 먼저 세세하게 쓰고 있습니다.
하루 1개씩 매일 포스팅 될 예정이니 즐겨찾기 하고 자주 들어와주세요^^
- 2022.11.26 최종 갱신일
1. 수태음폐경 手太陰肺經
혈명穴名 | 위 치 | 주치主治 |
a.중부中府 | 인체 정면 정중앙선에서 좌우로 6촌 떨어진 곳, 제 1 늑골 사이의 오목한 부분 | 기침, 가슴답답함, 기관지염 |
b.척택尺澤 | 팔꿈치 주름 상, 위팔두갈래근의 요측 | 기침, 가슴옆구리통증, 소아경풍 |
c.열결列缺 | 요골 경돌 부분, 손목 주름 위로 5촌 부분 | 정수리강직성통증, 기침 |
d.태연太淵 | 손목주름의 요측 끝, 요동맥 요측 오목한 부분 | 기침, 인후통, 손목통증 |
e.어제魚際 | 제1장골 중간, 적백육제 부분 | 효천, 기침, 가슴등통증 |
f.소상少商 | 엄지의 요측 손톱 옆으로 약 0.1촌 부분 | 중풍혼미, 소아경풍, 기침 |
a. 중부中府
b.척택尺澤
c.열결列缺
d.태연太淵
e.어제魚際
f.소상少商
2. 수양명대장경 手陽明大腸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합곡 合谷 | 손등, 제 1,2 장골의 사이 제2장골의 중간 부분 | 두통, 치통, 발열, 면시경마비, 손등통증, 손가락통증 및 수축증 |
b.양계 陽溪 | 손등, 손목 주름 요측 양갈래 근 사이의 오목한 부분 | 두통, 안구충혈, 치통, 손목통증 |
c.편력 偏歷 | 양계혈과 곡지혈의 연결선 상, 양계혈 위로 3촌 부분 | 비출혈, 안구충혈, 이명, 손등통증 |
d.수삼리 手三里 | 곡지혈 아래로 3촌 부분 | 팔꿈치통증, 손등마비감 |
e.곡지 曲池 | 팔꿈치를 굽히면 생기는 팔꿈치 주름의 끝 부분 | 발열, 고혈압, 팔꿈치통증, 상지통 |
f.견우 肩髃 | 견봉 전측 하방, 팔을 벌렸을 때 생기는 요함 부분 | 어깨통증, 견관절활동장애 |
g.영향 迎香 | 비익 좌우로 0.5촌 부분 | 비염, 콧물, 구안와사 |
a.합곡 合谷
b.양계 陽溪
c.편력 偏歷
d.수삼리 手三里
e.곡지 曲池
f.견우 肩髃
g.영향 迎香
3. 족양명위경 足陽明胃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사백四白 | 시선을 정면을 향한 후 동공의 직하방, 아랫 눈꺼플 밑으로 광대뼈 부근 오목한 곳 | 면신경마비, 안구질환 |
b.지창地倉 | 입 꼬리 외측으로 0.4촌 부분 | 침흘림, 구안와사 |
c.협거 頰車 | 하악각 앞 상방 1횡지 떨어진 오목한 부분, 이를 깨물때 생기는 교근의 솟은 부분 | 구안와사, 치통, 뺨 부위 통증 |
d.하관下關 | 면부 귀의 전 하방, 광대뼈와 하관의 연결 부위에 생기는 오목한 부분. 입을 벌리면 솟아오르고 입을 닫으면 오목한 부분 | 구안와사, 치통 |
e.두유頭維 | M자탈모가 생기는 곳, 머리의 정중앙선에서 좌우로 4.5촌 떨어진 곳 | 두통 |
f.인영人迎 | 목 앞쪽, 목빗근 앞쪽 동맥 뛰는 부위, 결후의 좌우 1.5촌 떨어진 곳 | 인후통, 천식 |
g.결분缺盆 | 쇄골 위 움푹 파인 곳의 중앙, 신체 정중앙선 좌우 4촌 떨어진 곳 | 흉만 |
h.천추天樞 | 배꼽 좌우 2촌 떨어진 곳 | 설사, 변비, 복통, 월경불순 |
i.비관髀關 | 허벅지 앞쪽, 넙다리곧은근이 몸과 만나는 끝 부분, 넙다리빗근, 넙다리근막긴장근 세 근육 사이의 세모꼴 오목한 부분 | 하지통 |
j.복토伏兎 | 허벅지 전방, 무릎뼈 위로 6촌 떨어진 곳 | 하지위축증, 무릎통증 |
k.양구梁邱 | 허벅지 전방, 무릎뼈 위로 2촌 떨어진 곳 | 무릎통증 |
l.독비犢鼻 | 무릎 전방 무릎인대의 외측 오목한 부분 | 무릎통증, 하지불편감 |
m.족삼리足三里 | 독비혈 아래로 3촌 부분 | 복통, 설사, 변비, 하지통증, 고혈압 |
n.상거허上巨虛 | 족삼리 아래로 3촌 부분 | 복통, 설사, 복부팽만 |
o.하거허下巨虛 | 상거허 아래 3촌 부분 | 옆구리신경통, 장염 |
p.풍륭風隆 | 외복사뼈 융기 위쪽으로 8촌 부분 | 두통, 변비, 하지마비 |
q.해계解溪 | 발목의 전방, 정중앙 오목한 부분 | 발목관절손상, 발가락마비감 |
r.충양沖陽 | 발등의 제일 높은 곳, 엄지발가락과 지장근 사이, 동맥이 느껴지는 부분 | 위통, 상관치통, 발등통증 |
a.사백 四白
b.지창 地倉
c.협거 頰車
d.하관 下關
e.두유 頭維
f.인영 人迎
g.결분 缺盆
h.천추 天樞
i.비관 髀關
k.양구 梁邱
p.풍륭 風隆
j.복토 伏兎
l.독비 犢鼻
m.족삼리 足三里
n.상거허 上巨虛
o.하거허 下巨虛
q.해계 解溪
r.충양 沖陽
4. 족태음비경 足太陰脾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태백太白 | 제 1 발등뼈 외측으로 돌출된 뼈 후하방의 오목한 부분 | 위통, 복부팽만, 설사, 변비, 이질 |
b.공손公孫 | 제 1 발등뼈 기저의 전하방, 적백육제 | 위통, 소화불량, 복통, 설사 |
c.삼음교三陰交 | 내복사뼈 위로 3촌, 경골 내측면의 후면부 | 불면증, 아랫배통증, 이뇨, 소변불리, 부인과 질병 |
d.음릉천陰陵泉 | 경골 내측 무릎뼈 아래 오목한 부분 | 슬관절통증, 소변불리 |
e.혈해血海 | 무릎뼈 내쪽 상방 2촌 부분 | 무릎통증, 월경불순 |
f.대횡大橫 | 배꼽 중심 좌우로 4촌 떨어진 부분 | 변비, 허한虛寒설사, 아랫배통증 |
a.태백太白
b.공손公孫
c.삼음교三陰交
d.음릉천陰陵泉
e.혈해血海
f.대횡大橫
5. 수소음심경 手少陰心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극천極泉 | 겨드랑이 정중앙, 액와동맥 내측 | 견배, 팔꿈치통증, 옆구리통증 |
b.소해少海 | 팔꿈치를 굽히면 생기는 주름의 척측 끝의 오목한 부분 | 팔꿈치관절통증 |
c.신문神門 | 팔목 주름의 척측 끝의 오목한 부분 | 심장두근거림, 불면증, 건망증 |
d.소충少沖 | 약지의 요측, 손톱 끝 옆으로 0.1촌 부분 | 심장두근거림, 심장통, 가슴옆구리통증 |
a.극천極泉
b.소해少海
c.신문神門
d.소충少沖
6. 수태양소장경 手太陽小腸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소택少澤 | 약지 척측 손톱 끝의 옆으로 0.1촌 부분 | 중풍혼미, 인후통, 발열 |
b.후계後溪 | 손가락을 말아쥔 후 손날 부분에 생기는 움푹한 곳 | 정수리강직통, 어깨통증, 요통, 이명 |
c.소해小海 | 팔꿈치를 굽히고 척골 쪽 튀어나온 뼈와 공골 내 상의 오목한 부분 | 상지통, 경추통, 치통 |
d.견정肩貞 | 제7경추 돌기와 어깨뼈 봉우리를 이은 연결선 상의 중심 | 어깨관절염증, 상지마비통증 |
e.천종天宗 | 어깨뼈 중심과 어깨뼈 아래각을 이은 연결선 상의 위쪽으로 1/3과 아래쪽 2/3 되는 지점의 오목한 부분 | 어깨관절통증 |
f.견외유肩外兪 | 제1흉추 돌기 아래에서 좌우로 3촌 부분 | 견배통, 경추강직통, 상지냉통 |
g.견중유肩中兪 | 대추혈 좌우로 2촌 떨어진 부분 | 견배통, 기침 |
h.관료觀髎 | 눈 바깥쪽 끝에서 직하방으로 내려와 광대뼈의 오목한 부분 | 구안와사 |
a.소택少澤
b.후계後溪
c.소해小海
d.견정肩貞
e.천종天宗
f.견외유肩外兪
g.견중유肩中兪
h.관료觀髎
7. 족태양방광경 足太陽膀胱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정명睛明 | 눈의 안쪽 끝에서 콧대 쪽으로 0.1촌 떨어진 부분 | 안질환 |
b.찬죽攢竹 | 눈썹 머리 안측의 오목한 부분 | 눈썹안뼈통증, 안구충혈, 두통, 불면증 |
c.천주天柱 | 아문혈 좌우로 1.3촌, 뒷머리카락 시작점 위로 0.5촌 떨어진 곳의 오목한 부분 | 후두통, 경추강직통증, 인후통, 콧물 |
d.대저大杼 | 제1흉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발열, 기침, 견갑통증 |
e.풍문風門 | 제2흉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상풍傷風기침, 흉배통 |
f.폐유肺兪 | 제3흉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기침, 가슴답답, 등근육뭉침 |
g.심유心兪 | 제5흉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불면증, 심장떨림 |
h.격유膈兪 | 제7흉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구토, 딸꾹질 |
i.간유肝兪 | 제9흉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옆구리통증, 간질환, 안질환 |
j.담유膽兪 | 제10흉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옆구리통증, 담낭질환 |
k.비유脾兪 | 제11흉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소화불량, 권태무력감 |
l.위유胃兪 | 제12흉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위통, 급체, 소화불량 |
m.삼초유三焦兪 | 제1요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요통, 구토, 복부팽만 |
n.신유腎兪 | 제2요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요통무력감, 이정, 이뇨, 월경불순 |
o.대장유大腸兪 | 제4요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설사, 요통, 대퇴부통증 |
p.방광유膀胱兪 | 제2미저골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1.5촌 떨어진 부분 | 소변불리, 이뇨, 요추강직통 |
q.팔료八髎 | 제1,2,3,4 미저 후공 중간 내 상료,차료,중료,하료(좌우 각 2개씩 총 8개 혈) | 아랫요추통증, 비뇨생식계질병 |
r.질변秩邊 | 제4미저골 아래에서 좌우로 3촌 떨어진 부분 | 요통, 하지마비통증, 소변불리 |
s.은문殷門 | 둔부 후면 엉덩이 주름 아래로 6촌 떨어진 부분 | 좌골신경통, 하지마비통증 |
t.위중委中 | 무릎 뒤 주름 정중앙 부분 | 슬배통, 슬관절통증, 반신불수 |
u.승산承山 | 다리를 쭉 펴면 종아리 뒤에 생기는 '人'자 형태의 오목한 부분 | 요배통, 위장경련, 이질 |
v.곤륜崑崙 | 외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의 중간부분 | 발목손상, 좌골신경통 |
w.신맥申脈 | 외복사뼈 아래 오목한 부분 | 요통 |
a.정명睛明
b.찬죽攢竹
c.천주天柱
d.대저大杼
e.풍문風門
f.폐유肺兪
g.심유心兪
h.격유膈兪
i.간유肝兪
j.담유膽兪
k.비유脾兪
l.위유胃兪
m.삼초유三焦兪
n.신유腎兪
o.대장유大腸兪
p.방광유膀胱兪
q.팔료八髎
r.질변秩邊
s.은문殷門
t.위중委中
u.승산承山
v.곤륜崑崙
w.신맥申脈
8. 족소음신경 足少陰腎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용천涌泉 | 발바닥을 3등분하여 발가락 쪽 1/3의 오목한 부분 | 고혈압, 두통 |
b.태계太溪 | 내복사뼈와 아킬레스건 사이의 오목한 부분 | 방광염, 이정, 이뇨, 월경불순 |
c.조해照海 | 내복사뼈 아래로 1촌 떨어진 부분 | 월경불순 |
d.축빈筑宾 | 태계혈 직상直上 5촌, 경골 내측 위로 약 2촌 부분 | 아랫다리통증 |
a.용천涌泉
b.태계太溪
c.조해照海
d.축빈筑宾
9. 수궐음심포경 手厥陰心包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곡택曲澤 | 팔꿈치 주름 중 위팔두갈래근의 척측 부분 | 심장두근거림, 팔꿈치통증, 수전증 |
b.간사間使 | 손목 주름 위로 3촌 떨어진 곳. 주먹을 쥐고 살짝 손목을 꺽었을때 생기는 두갈래 힘줄 사이 | 심장통증, 가슴두근거림, 구토 |
c.내관內關 | 손목 주름 위로 2촌 떨어진 부분 | 심장통, 가슴두근거림, 구토, 위통 |
d.노궁老宮 | 손가락을 말아쥐었을때 손바닥에 중지 끝이 닿는 부분 | 심장두근거림, 중풍혼미 |
a.곡택曲澤
b.간사間使
c.내관內關
d.노궁老宮
10. 수소양삼초경 手少陽三焦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중저中渚 | 손등 제 4, 5번 손바닥뼈 사이 | 편두통, 이명, 손등손가락통증 |
b.양지陽池 | 손등 손목 주름 중앙, 척측의 요함 부분 | 손등통증, 견배통 |
c.외관外關 | 손등 손목 주름 위로 2촌 떨어진 부분 뼈 사이 | 상지관절통증, 활동불가한 낙침 |
d.지구支沟 | 외관혈 위로 1촌 떨어진 부분 | 견배통, 변비 |
e.삼양락三陽絡 | 지구혈 위로 1촌 떨어진 부분 | 이명, 치통, 상지통 |
f.사죽공絲竹空 | 눈썹 외측 끝의 오목한 부분 | 안질환, 편두통, 면신경마비 |
a.중저中渚
b.양지陽池
c.외관外關
d.지구支沟
e.삼양락三陽絡
f.사죽공絲竹空
11. 족소양담경 足少陽膽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풍지風池 | 목 뒤 침골 아래, 목위갈래근 외측 오목한 부분 | 감기기운, 두통, 경추강직통증 |
b.견정肩井 | 대추혈과 견봉의 연결선상의 중심부분 | 견배통 |
c.거료居髎 | 치골의 튀어나온 부분과 대퇴골 튀어나온 뼈 부분의 연결선상의 중심지점 | 허리대퇴부통증, 좌관절통증 |
d.환도環逃 | 엉덩이 부위, 엉치뼈와 대퇴골 튀어나온 뼈의 연결선상에서 대퇴부 튀어나온 뼈 쪽으로 1/3지점 | 요통, 대퇴부통증 |
e.풍시風市 | 대퇴 외측, 똑바로 서서 두 팔을 자연스럽게 내려 허벅지 옆에 붙였을때 중지가 닿는 부분 | 하지통 |
f.양릉천陽陵泉 | 종아리 부분, 무릎 후 하방 튀어나온 튀어나온 뼈의 전하방으로 오목한 부분 | 슬관절통증, 옆구리통증 |
g.광명光明 | 외복사뼈 직상 5촌 떨어진 부분 비골 후면 | 근시, 야맹증, 아랫다리외측통증 |
h.현종悬钟 | 외복사뼈 직상 3촌 떨어진 부분 비골 후면 | 옆구리통증, 하지통증 |
i.구허丘墟 | 외복사뼈 전하방 오목한 부분 | 발목관절통증, 옆구리통증 |
a.풍지風池
b.견정肩井
c.거료居髎
d.환도環逃
e.풍시風市
h.현종悬钟
f.양릉천陽陵泉
g.광명光明
i.구허丘墟
12. 족궐음간경 足厥陰肝經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태충太冲 | 발등 부분, 제1, 2발허리뼈 사이의 오목한 부분 | 두통, 어지럼증, 고혈압 |
b.여구蠡溝 | 내복사뼈 직상 5촌 떨어진 부분, 경골 내측 면의 중앙 | 족경마비통증, 소변불리, 월경불순 |
c.장문章門 | 제11갈비뼈 끝의 아래 | 가슴답답, 옆구리통증 |
d.기문期門 | 유두 직하방, 제 6늑간 사이 | 가슴옆구리통증 |
a.태충太冲
b.여구蠡溝
c.장문章門
d.기문期門
13. 독맥 督脈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장강長强 | 미골 아래 0.5촌 부분 | 설사, 변비, 탈장 |
b.요양관腰陽關 | 제4요추 극돌 아래 | 허리통증 |
c.명문命門 | 제2요추 극돌 아래 | 허손虛損요통 |
d.신주身柱 | 제3흉추 극돌 아래 | 척추강직통 |
e.대추大椎 | 제7경추 극돌 아래 | 감기, 발열, 낙침 |
f.풍부風府 | 뒷통수 머리카락 시작점 정중앙선 위로 1촌 부분 | 두통 |
g.백회百會 | 머리의 꼭대기, 양 귀 끝의 연결결 선과 머리 정가운대 선의 교차점 | 두통, 어지럼증, 고혈압, 혼미 |
h.인중人中 | 코 밑에서 윗입술을 3등분 하여 코 밑 쪽으로 1/3 지점 | 혼미, 구안와사 |
a.장강長强
b.요양관腰陽關
c.명문命門
d.신주身柱
e.대추大椎
f.풍부風府
g.백회百會
h.인중人中
14. 임맥 任脈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관원關元 | 배꼽 아래로 3촌 떨어진 곳 | 복통, 생리통, 이뇨 |
b.석문石門 | 배꼽 아래로 2촌 떨어진 곳 | 설사 |
c.기해氣海 | 배꼽 아래로 1.5촌 떨어진 곳 | 월경불순, 이정 |
d.신궐神闕 | 배꼽의 정중앙 | 위통, 설사 |
e.중완中脘 | 배꼽 위로 4촌 떨어진 곳 | 위통, 구토, 소화불량 |
f.단중襢中 | 인체 정면 정중앙선과 양쪽 유두의 연결선의 교차점 | 기침, 가슴답답, 흉통 |
g.천돌天突 | 흉골 정중앙선, 목아래 패인 곳의 중심 | 기침, 가래뱉기어려움 |
h.승장承漿 | 밑 입술 아래 오목한 부분 | 구안와사, 치통 |
a.관원關元
b.석문石門
c.기해氣海
d.신궐神闕
e.중완中脘
f.단중襢中
g.천돌天突
h.승장承漿
15. 경외기혈 經外奇穴
혈명 | 위치 | 주치 |
a.인당印堂 | 양쪽 눈썹 연결선상의 중심 | 두통, 비염, 불면증 |
b.태양太陽 | 눈썹의 외측과 눈꼬리 끝의 사이 후방으로 약 1촌 떨어진 부분 | 두통, 감기, 안질환 |
c.어요魚腰 | 눈썹의 중심 | 눈썹부위뼈통증, 안구충혈, 안구통증 |
d.사신총四神聰 | 백회혈의 전후좌우 각 1촌 떨어진 곳. 총 4개 | 두통, 어지럼증, 건망증 |
e.교궁橋弓 | 목의 양측 근육 상 | 두통, 어지럼증, 고혈압 |
f.화타협척華陀夾脊 | 제1흉추에서 제5요추 극돌 아래에서 좌우로 0.5촌 떨어진 곳 | 척추강직통, 장부질환 |
g.정천定喘 | 대추혈에서 좌우로 0.5촌 떨어진 곳 | 천식, 기침, 견배통 |
a.인당印堂
b.태양太陽
c.어요魚腰
d.사신총四神聰
e.교궁橋弓
f.화타협척華陀夾脊
g.정천定喘
와- ! 다 썼네요 ㅠㅠㅠ 힘 많이 들었습니다. 꼭 공감 눌러주세요!! ㅎㅎ
모두
즐거운 하루 되시구요!!
실패란?
"한 번 더 시도해보지 않는 게 유일한 실패다."
" 구독 · 공감 · 댓글 "
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.
'건강:D > 혈자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요통 침 혈자리 [요통점 腰痛点] 허리통증 손 지압 (40) | 2020.04.14 |
---|---|
고지혈증에 좋은 차, 혈자리 (53) | 2020.04.13 |
다이어트 비만 치료 [양허陽虛] 뜸 혈자리 (43) | 2020.04.06 |
피부에 좋은 혈자리 (46) | 2020.04.05 |
손 혈자리 (64) | 2020.03.31 |
댓글